반응형
기출문제는 첨부파일을 확인하세요.
1. 소프트웨어 설계 및 개발
소프트웨어 설계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(UI)
-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중심으로 설계되어야 하며, 배우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해야 한다.
- 유지보수를 위해 개발자 중심으로 설계하는 것은 부적절하다.
-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(SOA): 기업의 소프트웨어 인프라를 공유 및 재사용이 가능한 서비스 단위로 구축하는 정보기술 아키텍처.
운영체제 및 프로세스 스케줄링
- 라운드 로빈(Round Robin) 스케줄링: 시분할 시스템에서 사용되며, 타임 슬라이스를 정의하여 프로세스를 순환하며 실행.
- 선입선출(FCFS): 준비상태 큐에 도착한 순서대로 실행.
- 교착 상태(Deadlock) 발생 조건:
- 상호 배제(Mutual Exclusion)
- 점유와 대기(Hold and Wait)
- 비선점(Non-preemption)
- 순환 대기(Circular Wait)
2. 데이터베이스 및 SQL
정규화(Normalization)
- 1NF: 모든 속성이 원자값을 가져야 함.
- 2NF: 부분 함수 종속 제거.
- 3NF: 이행적 함수 종속 제거.
SQL 기본 명령어
- DML (Data Manipulation Language): SELECT, INSERT, UPDATE, DELETE.
- DDL (Data Definition Language): CREATE, ALTER, DROP.
- DCL (Data Control Language): GRANT, REVOKE.
트랜잭션 및 무결성
- 트랜잭션 특징(ACID 원칙):
- 원자성(Atomicity): 트랜잭션은 완전 실행되거나 완전 취소되어야 함.
- 일관성(Consistency): 데이터베이스의 무결성을 유지.
- 격리성(Isolation): 트랜잭션 간에 상호 간섭이 없어야 함.
- 지속성(Durability): 트랜잭션 완료 후 데이터가 영구적으로 저장.
3. 네트워크 및 보안
네트워크 프로토콜 및 보안
- OSI 7 계층:
- 물리 계층 (Physical)
- 데이터 링크 계층 (Data Link)
- 네트워크 계층 (Network)
- 전송 계층 (Transport)
- 세션 계층 (Session)
- 표현 계층 (Presentation)
- 응용 계층 (Application)
- 라우팅 프로토콜:
- OSPF (Open Shortest Path First)
- RIP (Routing Information Protocol)
- BGP (Border Gateway Protocol)
- 보안 위협 및 대응:
- 스니핑(Sniffing): 네트워크 패킷 감청.
- 스푸핑(Spoofing): IP 주소나 MAC 주소를 위조하여 공격.
- DDoS (Distributed Denial of Service): 다수의 공격 시스템이 특정 서버에 과부하를 유발.
4. 알고리즘 및 자료구조
자료구조
- 스택(Stack): 후입선출(LIFO) 구조.
- 큐(Queue): 선입선출(FIFO) 구조.
- 연결 리스트(Linked List): 노드들이 포인터로 연결된 구조.
- 트리(Tree): 계층적 구조의 자료구조.
- 그래프(Graph): 정점과 간선으로 이루어진 네트워크 구조.
정렬 및 탐색 알고리즘
- 버블 정렬(Bubble Sort): 인접한 두 값을 비교하며 정렬.
- 선택 정렬(Selection Sort): 최소값을 찾아 정렬.
- 퀵 정렬(Quick Sort): 피벗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정렬.
- 이진 탐색(Binary Search): 정렬된 데이터에서 중간값을 기준으로 탐색.
5. 소프트웨어 테스트 및 품질 관리
소프트웨어 테스트 기법
- 단위 테스트(Unit Test): 개별 모듈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검증.
- 통합 테스트(Integration Test): 여러 모듈이 결합될 때의 문제를 찾는 테스트.
- 시스템 테스트(System Test): 전체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검증.
- 인수 테스트(Acceptance Test):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 확인.
소프트웨어 품질 모델
- ISO/IEC 9126 품질 특성:
- 기능성(Functionality)
- 신뢰성(Reliability)
- 사용성(Usability)
- 유지보수성(Maintainability)
- 이식성(Portability)
6. 최신 IT 기술
클라우드 컴퓨팅
- IaaS (Infrastructure as a Service): 서버, 스토리지 등의 인프라 제공.
- PaaS (Platform as a Service): 개발 환경을 제공.
- SaaS (Software as a Service): 웹 기반 소프트웨어를 제공.
가상화 기술
- 컨테이너(Containerization): 도커(Docker) 등의 기술을 활용한 경량 가상화.
- 하이퍼바이저(Hypervisor): 가상 머신(VM)을 실행하는 소프트웨어.
빅데이터 및 인공지능
- 빅데이터(Big Data): 대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석하여 가치를 추출.
- 머신러닝(Machine Learning): 데이터를 학습하여 패턴을 인식.
- 딥러닝(Deep Learning): 인공 신경망을 활용한 고급 AI 기술.
7. 프로그래밍 및 개발 언어
프로그래밍 언어 활용
- C 언어:
- % 연산자는 정수형에서만 사용 가능.
- 논리 연산자: && (AND), || (OR), ! (NOT).
- JavaScript:
- splice() → 배열에서 특정 범위의 요소를 제거하는 메소드.
- length → 배열의 길이를 반환.
- 파이썬(Python):
- 변수명은 숫자로 시작할 수 없음.
- def 키워드를 사용하여 함수를 정의.
모듈 및 결합도
- 결합도의 강한 순서: 내용 결합 > 공통 결합 > 제어 결합 > 스탬프 결합 > 데이터 결합.
- 응집도의 강한 순서: 기능적 응집 > 순차적 응집 > 절차적 응집 > 논리적 응집 > 우연적 응집.
2. 2024년2회_정보처리산업기사필기 기출문제.pdf
0.89MB
반응형
'IT > 정보처리산업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(2025년) 핵심요약 - 정보처리 산업기사 (1) | 2025.03.19 |
---|---|
(2024년) 기출문제 3 - 정보처리 산업기사 (0) | 2025.03.14 |
(2024년) 기출문제 1 - 정보처리 산업기사 (0) | 2025.03.14 |
(2023년) 기출문제 3 - 정보처리 산업기사 (0) | 2025.03.14 |
(2023년) 기출문제 2 - 정보처리 산업기사 (0) | 2025.03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