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기출문제는 첨부파일을 확인하세요.
1. 소프트웨어 설계
- XP (Extreme Programming): 고객의 요구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며, 개발 책임자 없이 팀원들이 공동으로 책임을 나눠 맡는 방식.
- 자료 흐름도(DFD):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으로, 주요 구성 요소는 프로세스, 데이터 흐름, 데이터 저장소, 단말(terminator)이다.
- 미들웨어(Middleware): 다양한 시스템 간의 통신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,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.
- 디자인 패턴: 소프트웨어 설계에서 자주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용한 재사용 가능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패턴.
2. 소프트웨어 개발
- 폭포수 모형(Waterfall Model): 소프트웨어 개발을 단계적으로 진행하는 방식으로, 각 단계가 완료된 후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.
- 애자일(Agile) 모형: 고객과의 상호작용을 중시하고, 유연한 개발을 위해 반복적인 개발 주기를 갖는다.
- 나선형 모형(Spiral Model): 개발과 위험 분석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점진적으로 소프트웨어를 완성하는 방법.
- 프로토타입 모형(Prototype Model): 초기 모델을 빠르게 제작하여 고객의 요구를 파악한 후 최종 제품을 개발.
3. 객체지향 설계
- 클래스(Class): 객체의 속성(속성)과 동작(메소드)을 정의한 틀.
- 일반화(Generalization): 여러 객체의 공통된 특성을 추상화하여 상위 클래스로 묶는 기법.
- 분류화(Classification): 특정 속성을 공유하는 객체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는 기법.
- 의존(Dependency) 관계: 클래스가 다른 클래스를 참조하거나 사용하는 관계.
4. 데이터베이스 구축
- SQL 명령어
- DML(Data Manipulation Language):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삽입, 수정, 삭제, 조회하는 명령어.
- DDL(Data Definition Language): 데이터베이스 객체(테이블, 뷰 등)의 정의와 관련된 명령어.
- 정규화(Normalization): 데이터베이스에서 중복을 최소화하고 데이터의 무결성을 높이기 위한 과정.
- 참조 무결성(Referential Integrity): 외래키가 참조하는 기본키가 존재해야 한다는 제약 조건.
5. 알고리즘 및 자료구조
- 자료구조: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처리하기 위한 구조.
- 스택(Stack): 후입선출(LIFO)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.
- 큐(Queue): 선입선출(FIFO)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.
- 트리(Tree): 계층적인 관계를 표현하는 자료구조.
- 알고리즘
- 이진 탐색(Binary Search): 정렬된 데이터에서 특정 값을 찾는 알고리즘으로, 검색 대상의 절반을 매번 제외시켜 효율적이다.
- 퀵 정렬(Quick Sort): 분할 정복 방식으로 데이터를 정렬하는 알고리즘으로, 평균적으로 효율적이다.
6. 네트워크 및 보안
- OSI 7 계층 모델: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관리하는 7개의 계층으로 나누어 설명.
- TCP/IP: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토콜, IP는 주소 지정, TCP는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담당.
- 보안: 정보의 기밀성, 무결성, 가용성을 보장하는 것이 중요.
- 방화벽(Firewall): 외부에서 들어오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차단하는 시스템.
- DDoS 공격(Distributed Denial of Service): 여러 대의 컴퓨터를 이용해 서버를 과부하시켜 서비스가 중단되게 하는 공격.
7. 최신 IT 기술
- 클라우드 컴퓨팅(Cloud Computing): 인터넷을 통한 컴퓨터 자원의 제공, 사용자는 서버나 저장공간을 직접 관리할 필요 없이 서비스를 이용.
- 가상화(Virtualization): 하나의 물리적 시스템에서 여러 개의 가상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게 하는 기술.
8. 소프트웨어 품질 관리
- 형상 관리(Configuration Management): 소프트웨어의 변경사항을 추적하고 관리하는 과정.
- 소프트웨어 테스트: 소프트웨어가 의도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과정.
- 화이트박스 테스트: 코드 내부를 분석하여 논리적 결함을 찾는 테스트.
- 블랙박스 테스트: 기능적 요구사항이 충족되는지 확인하는 테스트.
9. 성능 평가 및 테스트
- 성능 테스트(Performance Testing): 시스템이 주어진 성능 목표를 충족하는지 확인.
- 스트레스 테스트(Stress Testing): 시스템의 한계를 넘어서는 환경에서의 동작을 테스트.
3. 2024년3회_정보처리기사필기기출문제.pdf
1.11MB
반응형
'IT > 정보처리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(2025년) 기출문제 1 - 정보처리기사 (0) | 2025.03.12 |
---|---|
(2025년) 핵심요약 - 정보처리기사 (0) | 2025.03.12 |
(2024년) 기출문제 2 - 정보처리기사 (0) | 2025.03.12 |
(2024년) 기출문제 1 - 정보처리기사 (0) | 2025.03.12 |
(2024년) 핵심요약 - 정보처리기사 (0) | 2025.03.12 |